[고시투데이]서울시교육청이 올해에만 들어 6개월 사이에 교육청 공무원 임용시험 합격자 명단 발표를 번복하는 등의 실수를 저지르면서, 수험생들과 공직계 내외에서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논란이 불거진 것은 7월 15일 서울시교육청이 직접 발표한 '2021년 지방공무원 공개(경력)경쟁 임용시험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공고'를 정정한다는 소식에서 시작되었다.
발표를 통해 교육청은 “전날 14일에 발표한 교육행정직렬 등의 합격자와 불합격자 47명이 뒤바뀐 사실을 뒤늦게 발견했다”며, 발표 직후 약 하루 만에 이를 수정한 명단을 공개했다.
구체적으로 교육청은 “당초 합격이라고 발표한 20명을 불합격 처리하고 불합격 처리한 27명을 추가 합격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즉, ▲시험에서 과목 과락자 등이 합격 처리된 것을 불합격으로 정정, ▲양성평등과 동점자 등을 추가 합격 처리한 것이 그 내용이다.
재차 해명을 전한 교육청은 "필기시험에서 제외돼야 하는 결시자 답안이 담당자의 실수로 포함 처리돼 평균점이 낮아지고 표준편차가 커져 조정점수에 변동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사진: 서울시교육청 제공)
이어 "합격자 발표 후 해당 사실을 발견하고 즉시 결시자를 제외해 처리한 결과 평균점과 표준편차의 변동으로 합격선이 변경됐고 이에 당초 합격자 중 불합격 처리된 인원은 20명, 추가로 합격 처리된 인원은 27명"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지방공무원 교육행정직렬과 사서직렬의 필기시험 2차 과목은 6개 과목 중 2개 과목을 선택해 응시하도록 한다.
아울러 선택과목별 난이도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평균점과 표준편차를 반영한 조정점수를 적용한다. 즉, 이 조정점수가 잘못 산출돼 합격자와 불합격자가 바뀌는 불상사가 일어났다는 점이다.
문제는 올해 뿐만 아니라 작년에도 이 같은 실수가 교육청 임용시험 합격발표에서 일어났던 바다.
2020년 12월에도 서울시교육청은 그 해 중등교사 임용시험 1차 합격자 명단을 번복하며 사과와 해명을 전했었다.
당시 임용시험 제1차 시험 체육 과목 일반전형 합격자 발표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자가격리자들의 점수가 뒤늦게 반영되던 것이 화근이었다.
결국 1차 시험에서 합격자 명단에 들었던 응시생 7명이 10시간 만에 취소 통보를 받았다.
당시 서울시교육청은 1차에서 체육 과목 일반전형 모집인원의 1.5배인 68명을 선발하기로 한 인원에서 동점자 7명까지 포함한 74명으로 약 6명을 더 늘려 발표했다.
하지만, 합격자 발표 이후 자가격리 응시생 6명이 결시 처리된 것을 발견하고 합격자 수를 재산정했더니 합격점이 75점에서 75.33점으로 변경됐다.
변경된 결과에 따라 누락된 응시생 중 합격선 이상의 점수를 받은 2명은 합격 처리됐다. 기존 합격선에 있던 동점자 6명은 불합격 통보를 받았다.
이 같은 조치에 당시 응시생과 시험을 준비 중인 수험생 등까지 교육청의 ‘구멍난 행정’에 분노를 표하며, 결국 책임은 수험생에게 넘긴다는 강한 비판이 일었다.
(사진: 서울시교육청 보도자료)
▲서울시교육청, ‘컨트롤 타워’의 리스크가 원인인가?
한편, 작년과 올해에 이은서울시교육청의 행정처리 문제의 원인에는 실질적인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할 ‘헤드’인 교육감의 리스크 때문이라는 해석이 인다.
교육처와 교육계는 “현재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이다, 여기에 기존에 교육감이 추구했던 공약 이행이 이뤄지지 않고, 공백이 생기고 더군다나 조 교육감 개인이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대상자로서 오르는 등 대내외적인 문제들로 겉보기와 다르게 바람이 잘들 날이 없다”고 전했다.
하지만. 아무리 사정을 봐준다고하더라도, 어느 것보다도 공정성과 객관성이 유지되어야하할 공시의 결과 발표에 있어서 2차례나 실수가 발생했다는 데에는 교육청 자체가 반성에 반성을 거듭해야한다는 분위기다.
심지어는 교육 공무원계의 공직기강 해이가 수면위로 떠올랐다며, ‘터질게 터졌다’는 반응도 있다.
코로나19로 비상인 이 시국에 잇단 실수를 저지른 공무원에 대해서는 일벌백계로 다스려 교육청에 다시 긴장감을 불어 넣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코로나19 시국이 장기화되면서, 취업문은 더욱 닫히고 있고, 아울러 공시로 가는 길에 경쟁자는 더 많고, 길 폭은 더 좁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시국일수록 ‘임용’과 ‘채용’에 있어서 무엇보다 공정한 경쟁이 이뤄져야한다는 당부가 주어지고 있다. 그 당부와 요구에 더욱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정부와 기관 등이 더욱 무겁게 책임감을 가져야한다는 쓴소리가 인다.*